가설공사에서 강관비계는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효율적인 작업 환경을 조성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강관비계의 설치 기준은 관련 법령과 규정을 준수하여야 하며, 이를 통해 구조물의 안전성과 작업자의 생명 보호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
1. 강관비계의 재료 및 규격
강관비계에 사용되는 강관 및 부속 철물은 반드시 안전인증을 받은 제품이어야 합니다. 이는 비계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예기치 못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입니다.
건설현장 가설통로(경사로, 계단, 사다리, 승강용 트랩) 설치기준
건설현장 가설통로(경사로, 계단, 사다리, 승강용 트랩) 설치기준
가설통로란 공사기간 중에 근로자의 안전한 이동과 재료의 운반을 위해 임시로 설치하는 통로입니다. 가설통로의 종류에는 가설 수평통로, 가설경사로, 가설계단, 가설사다리, 승강용 트랩이
04noti.com
2. 비계기둥의 설치
비계기둥은 지반에 미끄러지거나 침하하지 않도록 충분히 다짐하고, 깔판(반침널)을 평탄하게 설치하여야 합니다. 이를 통해 비계의 안정성을 높이고,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3. 비계기둥 간격 및 띠장 설치
비계기둥의 간격은 띠장 방향에서는 1.85미터 이하, 장선 방향에서는 1.5미터 이하로 설정해야 합니다. 띠장의 간격은 2.0미터 이하로 하며, 작업의 성질상 이를 준수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쌍기둥 틀 등을 사용하여 해당 부분을 보강해야 합니다.
4. 가새 설치
가새는 수평 간격 14미터 내외, 각도 45°로 걸쳐 비계기둥 및 띠장 등에 결속하여야 합니다. 모든 비계기둥은 가새와 결속되도록 하여 비계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5. 안전난간 설치
비계의 상부 수평재는 작업 발판면으로부터 수평재 윗면까지 0.9미터 이상이어야 하며, 중간 수평재는 설치 높이의 중앙부에 설치하여야 합니다. 이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고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하기 위함입니다.
6. 출입구 보강
비계의 출입구 등은 사재에 의한 보강 및 비계기둥의 결속 등을 통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비계의 구조적 결함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7. 전선 및 전기설비와의 안전거리 확보
가공 전로에 근접하여 비계를 설치하는 경우, 가공 전로를 이설하거나 절연용 방호구를 장착하는 등 가공 전로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이는 전기 사고를 예방하고 작업자의 생명 보호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이러한 강관비계 설치 기준을 철저히 준수함으로써, 가설공사 현장에서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작업자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관련 법령과 규정을 숙지하고,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