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갑상선 결절은 목 앞쪽에 위치한 갑상선에 혹처럼 만져지는 덩어리를 말합니다. 건강검진 초음파에서 흔히 발견되며, 성인 인구의 30% 이상에서 발견될 정도로 흔한 질환입니다. 대부분은 양성이지만, 일부는 암일 수 있어 정밀 검사가 필요합니다.
갑상선 결절 암일확률
- 전체 결절 중 약 5~10%가 암으로 진단됩니다.
- 크기가 크다고 무조건 암은 아니며, 초음파 소견(경계, 내부 성분, 석회화 여부 등)이 더 중요한 판단 기준입니다.
- 특히 결절이 딱딱하고 움직이지 않거나, 림프절이 커져 있거나, 목소리 변화가 동반될 경우 암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위험 요인
갑상선 결절이 암일 확률을 높이는 요인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가족력: 갑상선암 환자가 가족 중 있을 경우
- 방사선 노출: 과거 방사선 치료나 노출 경험
- 성별과 연령: 여성, 특히 30~50대에서 흔히 발견
- 요오드 섭취 불균형: 부족하거나 과다한 경우
진단 방법
- 초음파 검사: 결절의 크기, 모양, 내부 구조 확인
- 세침흡인세포검사(FNA): 가는 바늘로 세포를 채취해 암 여부 확인
- 혈액검사: 갑상선 기능 이상 여부 확인
갑상선 결절이 암일 수도, 아닐 수도 있다면? < 전문가칼럼 < 기사본문 - 하이닥
갑상선 결절이 암일 수도, 아닐 수도 있다면? - 하이닥
“갑상선 결절(0.5cm) 세침 검사 결과 결절모양이 울퉁불퉁하고 안 좋아서 갑상선 반을 제거하는 수술을 권유 받았습니다. 단, 수술 후 암이 아니더라도 원망
news.hidoc.co.kr
치료 및 관리
- 양성 결절: 대부분은 정기적인 추적 관찰로 충분합니다.
- 의심 결절: 조직검사 결과에 따라 수술 여부 결정
- 암으로 확진: 조기 발견 시 수술과 치료로 완치율이 매우 높습니다.
갑상선 결절은 흔히 발견되지만, 암일 확률은 5~10% 정도로 낮은 편입니다. 그러나 방치하지 않고 정기적인 검진과 전문의 상담을 통해 관리한다면 불필요한 불안은 줄이고, 혹시 모를 위험도 조기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