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과유불급(過猶不及)'은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다'는 의미로, 정도를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다는 뜻으로, 중용이 중요함을 이르는 말입니다.
유래
이 표현은 공자의 제자 자공이 공자에게 물은 질문에서 유래합니다. 자공이 "선생님과 상나라 사람 중 누가 더 어질고 능하십니까?"라고 묻자, 공자는 "선생님은 지나치고, 상나라는 미치지 못한다."라고 답하셨습니다. 자공이 "그럼 선생님이 더 낫다는 말씀이십니까?"라고 묻자, 공자는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일상의 논어 <선진先進15>-과유불급過猶不及
子貢問 師與商也孰賢 子曰 師也過 商也不及 曰 然則師愈與 子曰 過猶不及 자공문 사여상야 숙현 자왈 사야과 상야불급 왈 연즉사유여 자왈 과유불급 -자공이 물었다. "사와 상 중에 누가 더 나
brunch.co.kr
뜻
'과유불급'은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다'는 뜻으로, 정도를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다는 의미로, 중용이 중요함을 이르는 말입니다.
이 사자성어는 지나치게 하는 것보다 부족한 것이 낫다는 의미로, 균형과 절제를 강조하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