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귀리는 볏과에 속하는 곡물로, 영어로 ‘Oat’라고 부릅니다. 껍질을 벗긴 통곡물 형태의 귀리는 단백질, 식이섬유, 비타민, 미네랄이 풍부해 ‘슈퍼푸드’로 불립니다. 반면 오트밀은 이 귀리를 먹기 편하도록 가공한 제품을 말합니다. 즉, 귀리가 원재료이고, 오트밀은 이를 찌거나 압착, 절단, 분쇄해 조리 시간을 단축하고 식감을 부드럽게 만든 형태입니다.
가공 방식의 차이
- 귀리: 껍질을 제거한 통곡물 상태로, 조리 시간이 길고 식감이 쫄깃합니다.
- 오트밀: 귀리를 찌고 눌러 납작하게 만든 ‘롤드 오트(Rolled oats)’, 굵게 잘라낸 ‘스틸컷 오트(Steel-cut oats)’, 얇게 압착해 바로 먹을 수 있는 ‘인스턴트 오트(Instant oats)’ 등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
가공도가 낮을수록 영양소 보존율이 높고 혈당 지수(GI)가 낮은 편이며, 가공도가 높아질수록 조리 편의성은 높아지지만 혈당 상승 속도가 빨라질 수 있습니다.
영양 성분 비교
- 귀리: 백미보다 단백질 함량이 약 3배, 식이섬유는 6배 이상 많습니다. 베타글루칸이라는 수용성 식이섬유가 풍부해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혈당 조절에 도움을 줍니다.
- 오트밀: 귀리의 영양소를 대부분 유지하지만, 인스턴트 형태처럼 가공도가 높은 제품은 식이섬유 함량이 줄고 혈당 지수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조리와 활용 방법
- 귀리: 주로 밥에 섞어 귀리밥으로 먹거나 죽처럼 끓여 섭취합니다. 조리 시간이 30분 이상 걸릴 수 있습니다.
- 오트밀: 물이나 우유에 2~5분 정도 끓이거나, 인스턴트 제품은 뜨거운 물만 부어도 바로 먹을 수 있습니다. 오버나이트 오트밀, 스무디, 베이킹 재료 등 활용 범위가 넓습니다.
건강 효과
- 공통점: 심혈관 건강 개선, 혈당 조절, 장 건강 증진, 체중 관리에 도움
- 차이점: 귀리는 가공도가 낮아 포만감이 오래 지속되고 혈당 변동이 완만합니다. 오트밀은 조리와 섭취가 간편해 바쁜 일상에서 꾸준히 먹기 좋습니다.
아침에 귀리(오트밀) 먹으면 생기는 몸의 변화 - 코메디닷컴
아침에 귀리(오트밀) 먹으면 생기는 몸의 변화 - 코메디닷컴
언제부턴가 ‘귀리’보다는 ‘오트밀(oatmeal)’이 더 익숙하게 들리는 경우가 있다. 귀리를 볶은 후 부수거나 납작하게 눌러 만든 것이 바로 오트밀이다, 죽처럼 조리해 먹기도 한다. 외국에서
kormedi.com
섭취 시 주의사항
- 귀리와 오트밀 모두 과도한 섭취는 설사, 복부 팽만감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통풍이나 신장 질환이 있는 분은 퓨린 함량 때문에 섭취량을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
- 인스턴트 오트밀이나 당분이 첨가된 뮤즐리·그래놀라는 혈당과 칼로리 섭취를 높일 수 있으므로 성분표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귀리와 오트밀은 원재료와 가공 방식에서 차이가 있지만, 모두 건강에 유익한 곡물입니다. 조리 시간과 식감, 영양소 보존 정도를 고려해 상황에 맞게 선택하면, 맛과 건강을 모두 챙길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