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봬다 뵈다 맞춤법

by 7냉이향 2025. 2. 1.
반응형

'봬다'와 '뵈다'는 발음이 유사하지만 의미와 사용법이 다른 단어입니다. 올바른 사용법을 이해하기 위해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세요.

 

1. '뵈다'의 의미와 사용법

  • '보이다'의 준말: '뵈다'는 '보이다'의 준말로, '눈에 보이다' 또는 '나타나다'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멀리 바다가 뵈는 집"에서 '뵈다'는 '보이다'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 '웃어른을 대하여 보다'의 의미: 또한 '뵈다'는 '웃어른을 대하여 보다'라는 의미로도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저녁에 아버지를 뵈었다"에서 '뵈다'는 '보다'의 높임말로 사용됩니다.

 

제2강 틀리기 쉬운 한글 맞춤법

 

제2강 틀리기 쉬운 한글 맞춤법

[루브릭으로 배우는 논술문 쉽게 쓰기] 제2강 틀리기 쉬운 한글 맞춤법 #01 띄어 쓰기 맞춤법 1. 조사는 그 앞 말에 붙여 쓴다. 집에서 처럼 / 여기부터 입니다. /// 여자도 남자만큼 일한다. / 먹을

brunch.co.kr

 

2. '봬다'의 사용법

  • 잘못된 표현: '봬다'는 국어사전에 등재되지 않은 단어로, 올바른 표현이 아닙니다. '뵈다'의 활용형으로 '뵈어'가 있으며, 이를 줄여서 '봬'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내일 선생님을 봬요"는 '내일 선생님을 뵈어요'의 줄임말입니다.

 

3. 활용 예시

  • '뵈다'의 활용:
    • "선생님을 뵙다"
    • "찾아 뵙다"
    • "내일 선생님을 뵙겠습니다"
  • '뵈어'의 활용:
    • "뵈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뵈어 반갑습니다"

 

4. '봬다'의 사용 예시

  • '봬다'는 올바른 표현이 아니므로 사용을 피해야 합니다.

 

5. 결론

  • '뵈다'는 '보이다'의 준말로 사용되며, '웃어른을 대하여 보다'의 의미로도 사용됩니다.
  • '봬다'는 올바른 표현이 아니므로 사용을 피해야 합니다.
  • '뵈어'는 '뵈다'의 활용형으로, 줄여서 '봬'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봬다'는 잘못된 표현이며, 올바른 표현은 '뵈다'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