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부가세 신고 기간 놓치면 벌금?

by 7냉이향 2025. 1. 30.
반응형

부가가치세(부가세)는 사업자라면 반드시 신고하고 납부해야 하는 세금입니다. 정해진 신고 기간을 놓치면 가산세나 벌금이 부과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신고 기간과 그에 따른 벌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부가세 신고 기간

부가세 신고는 연 2회 진행됩니다:

  • 1기 부가세 신고: 1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매출에 대한 신고로, 신고 기간은 7월 1일부터 7월 25일까지입니다.
  • 2기 부가세 신고: 7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매출에 대한 신고로, 신고 기간은 다음 해 1월 1일부터 1월 25일까지입니다.

만약 신고 기간이 주말이나 공휴일과 겹칠 경우, 다음 영업일까지 연장됩니다.

 

부가세 기한후신고 가산세는?

 

부가세 기한후신고 가산세는?

안녕하세요. 국세청 경력 세무사 변찬우입니다. ​ 어제는 부가세 신고 및 납부 기간이었는데요. 만약 기한 내 신고를 하지 않았다면 부가세 기한후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부가세 기한

brunch.co.kr

 

신고 기간을 놓쳤을 때 부과되는 벌금

신고 기간을 놓치면 다음과 같은 가산세가 부과됩니다:

  1. 무신고 가산세: 신고를 아예 하지 않은 경우, 납부할 세액의 20%가 부과됩니다. 만약 고의로 세액을 누락한 경우에는 40%까지 부과될 수 있습니다.
  2. 납부 지연 가산세: 신고는 했지만 납부를 지연한 경우, 매일 0.025%의 지연 가산세가 추가됩니다. 연간 최대 9.125%까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예시

납부할 부가세가 100만 원이고, 신고를 30일 지연했다면:

100만 원 × 0.025% × 30일 = 7,500원의 가산세가 발생합니다.

 

가산세 최소화 방법

부가세 신고 기간을 놓쳤다면, 국세청의 고지서 발송 전에 기한 후 신고를 하여 가산세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무신고 가산세의 경우, 신고 시기에 따라 최대 50%에서 20%까지 감면받을 수 있으며, 납부 지연 가산세는 빠르게 신고할수록 일 단위 이자율만큼 줄어듭니다.

 

부가세 신고 꿀팁

  • 알림 서비스 활용: 국세청 홈택스에서 부가세 신고 알림 서비스를 설정하여 마감일 전 알림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미리 신고 준비: 마감일이 가까워질수록 홈택스 접속량이 많아져 불편할 수 있으므로, 증빙자료와 매출/매입 내역을 미리 정리해두세요.
  • 세금 납부 방법 다양화: 납부할 금액이 부담된다면, 신용카드로 분할 결제도 가능하며, 세액이 100만 원을 초과하면 홈택스에서 분납 신청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 Q1. 부가세 신고를 놓쳤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A1. 신고 기간을 놓쳤다면, 가능한 빨리 기한 후 신고를 진행하여 가산세를 최소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 Q2. 부가세 신고를 하지 않으면 어떤 불이익이 있나요?
    • A2. 부가세 신고를 하지 않으면 무신고 가산세와 납부 지연 가산세가 부과되어 추가적인 재정적 부담이 발생합니다.

부가세 신고는 사업자라면 반드시 지켜야 할 의무입니다. 정해진 신고 기간을 놓치지 않도록 주의하고, 만약 놓쳤다면 빠르게 기한 후 신고를 진행하여 가산세를 최소화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