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시스템비계 설치기준

by 7냉이향 2025. 4. 2.
반응형

시스템비계는 건설 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과 작업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가설 구조물입니다. 기존의 강관비계에 비해 설치와 해체가 간편하며, 안전성과 경제성이 뛰어나 최근 다양한 건설 현장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시스템비계를 설치할 때는 관련 법령과 안전 기준을 철저히 준수해야 하며, 아래는 주요 설치 기준과 절차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시스템비계의 구성 요소

시스템비계는 수직재, 수평재, 가새재, 작업발판 등으로 구성됩니다.

  • 수직재: 상부 하중을 하부로 전달하는 기둥 역할을 합니다.
  • 수평재: 수직재와 직각으로 결합되어 수평 하중을 지지합니다.
  • 가새재: 비계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수직재와 수평재를 경사지게 연결합니다.
  • 작업발판: 작업자가 안전하게 이동하고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합니다.

 

2.비계 설치 기준 및 해체 시 유의사항(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2.비계 설치 기준 및 해체 시 유의사항(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건설 안전사고에서 생각보다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비계 관련 사고입니다. 비계는 높은 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임시가설물로, 주로 재료 운반이나 작업원의 통로 및 작업을

archtip.tistory.com

 

2. 설치 기준

  1. 지반 안정성 확보:
    • 지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해 깔판, 깔목, 콘크리트 타설 등으로 지반을 보강해야 합니다.
    • 수직재의 밑부분에는 조절형 받침철물을 설치하여 비계가 수평과 수직을 유지하도록 해야 합니다.
  2. 벽 연결 철물 설치:
    • 벽 연결재는 제조사의 기준에 따라 설치하며,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 모두 일정 간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 비계와 건물 사이에는 추락 방호망을 설치하여 안전성을 확보합니다.
  3. 작업발판 설치:
    • 작업발판은 폭 40cm 이상이어야 하며, 발끝막이판(높이 10cm 이상)을 설치해야 합니다.
    • 작업발판 간 이동을 위해 가설 계단이나 수직 사다리를 설치해야 합니다.
  4. 안전 난간 설치:
    • 작업발판의 단부에는 상부 난간대(높이 90~120cm), 중간 난간대, 발끝막이판을 설치하여 추락을 방지합니다.

 

3. 설치 절차

  1. 설치 계획서 작성:
    • 작업 전 조립도(평면도, 입면도, 단면도)를 작성하고, 구조 안전성을 검토합니다.
  2. 자재 하역 및 운반:
    • 자재를 안전하게 운반하고, 작업 장소에 적재합니다.
  3. 비계 조립:
    • 수직재와 수평재를 견고하게 연결하고, 가새재를 설치하여 비계의 안정성을 확보합니다.
  4. 안전 시설 설치:
    • 작업발판, 난간, 방호망 등을 설치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합니다.

 

4. 유지 및 점검

  • 정기 점검: 비계의 변형, 부식, 손상 여부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이상이 발견되면 즉시 보수해야 합니다.
  • 작업 환경 관리: 비, 눈, 강풍 등 기상 상태가 불안정할 경우 작업을 중지하고, 안전 상태를 확인한 후 작업을 재개합니다.

시스템비계는 작업자의 안전과 작업 효율성을 동시에 보장하는 중요한 설비입니다. 설치 기준과 절차를 철저히 준수하여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하다면 관련 법령과 지침을 참고하거나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