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군 훈련은 대한민국에서 병역을 마친 모든 예비역들이 국가 방위의 한 축을 담당하기 위해 받는 훈련입니다. 훈련 대상자들은 전역 후 해마다 일정 시간 훈련을 받게 되며, 특히 1~4년차 예비군과 5년차 이후 예비군들은 훈련 일정과 방식이 다릅니다.
1. 예비군 홈페이지 접속 및 로그인
예비군 훈련 신청은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할 수 있습니다. 먼저, 예비군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로그인합니다. 로그인 방법은 간편 인증, 휴대폰 인증, 디지털 원패스 등 다양한 방법이 제공됩니다.
동원훈련 입영 - 병력동원훈련소집 - 예비군편성 / 병력동원 - 병역이행안내 - 병무청
동원훈련 입영 - 병력동원훈련소집 - 예비군편성 / 병력동원 - 병역이행안내 - 병무청
병역이행안내INFORMATION --> --> 동원훈련 입영 동원훈련 입영 병력동원훈련소집 대상(간부/병) 병력동원소집 대상자로 지정된 사람 중 장교, 준사관, 부사관 : 전역 1~6년차 / 병(兵) : 전역 1~4년차 ※
www.mma.go.kr
2. 훈련 신청 메뉴 선택
로그인 후, '훈련 신청' 메뉴를 선택합니다. 여기서 '전국 단위 훈련 신청'을 클릭하여 훈련장과 일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3. 훈련장 및 일정 선택
훈련 신청 페이지에서 훈련장과 원하는 훈련 일정을 선택합니다. 예를 들어, 훈련장으로 '밀양'을 선택하고, 훈련 일자를 확인하여 신청 가능합니다.
4. 훈련 신청 완료
원하는 훈련장과 일정을 선택한 후, 신청을 완료합니다. 신청 결과는 예비군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훈련 일정에 대한 자세한 정보도 확인 가능합니다.
5. 훈련 일정 확인 및 준비물 준비
훈련 일정이 확정되면, 예비군 홈페이지나 예비군 앱을 통해 훈련 일정을 확인하고, 필요한 준비물을 준비합니다. 훈련에 필요한 준비물은 예비군 홈페이지나 통지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6. 훈련 연기 및 보류 신청
부득이한 사정으로 훈련에 참석할 수 없는 경우, 예비군 홈페이지를 통해 훈련 연기나 보류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보류 신청 시, 직장 및 직위, 보류 기간, 보류 사유 등을 입력하고, 재학 증명서와 학적부를 첨부해야 합니다.
7. 훈련 결과 확인
훈련이 완료되면, 예비군 홈페이지에서 훈련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훈련 결과는 훈련 완료 후 일정 기간 내에 반영되며, 이후 예비군 훈련 이수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 사항
- 예비군 훈련은 법정 훈련 기간 내에 반드시 이수해야 하며, 무단 불참 시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훈련 일정은 예비군 홈페이지나 예비군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훈련 일정에 대한 자세한 정보도 확인 가능합니다.
- 훈련 연기나 보류 신청은 예비군 홈페이지를 통해 할 수 있으며, 신청 시 필요한 서류를 첨부해야 합니다.
예비군 훈련은 국가 방위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만큼, 정해진 일정과 절차에 따라 신청하고 참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