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절삭 절사 차이 뜻

by 7냉이향 2025. 10. 6.
반응형

일상생활이나 업무에서 숫자를 다루다 보면 ‘절삭’과 ‘절사’라는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두 단어 모두 숫자를 줄이거나 간소화하는 과정과 관련이 있지만, 실제 의미와 적용 방식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계산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개념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 절사(切捨): 일정 단위 이하의 숫자를 버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단순히 잘라내는 방식으로 처리합니다.
  • 절삭(切削): 일정 단위를 기준으로 반올림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준값(보통 5 이상)에 따라 올리거나 그대로 두는 방식입니다.

 

절사의 뜻과 특징

절사는 흔히 ‘버림’이라고 표현합니다. 숫자의 특정 자릿수 이하를 모두 없애는 방식으로, 남은 숫자를 올리거나 조정하지 않습니다.

  • 예시: 123.89를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절사하면 123.8이 됩니다. 셋째 자리의 9는 단순히 버려집니다.
  • 특징: 무조건 잘라내므로 계산이 단순합니다.
  • 사용 예시: 세금 계산, 급여 지급, 요금 정산 등에서 자주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17,389원을 10원 단위 절사하면 17,380원이 됩니다.

 

절삭의 뜻과 특징

절삭은 흔히 ‘반올림’이라고 부릅니다. 특정 자릿수에서 기준값을 확인해, 5 이상이면 올리고 5 미만이면 그대로 두는 방식입니다.

  • 예시: 123.89를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절삭하면 123.9가 됩니다. 셋째 자리의 9가 5 이상이므로 둘째 자리를 올려줍니다.
  • 특징: 실제 값에 가장 가까운 근사치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 사용 예시: 통계 수치, 성적 산출, 평균값 계산 등에서 자주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3.45를 소수 첫째 자리 절삭하면 3.5가 됩니다.

 

절삭과 절사의 차이 비교

구분 절사 절삭
의미 일정 단위 이하를 버림 일정 단위를 기준으로 반올림
처리 방식 무조건 잘라냄 5 이상이면 올림, 미만이면 그대로 둠
예시 12.79 → 12.7 12.79 → 12.8
주 사용처 세금, 회계, 급여 정산 통계, 성적, 평균 계산

 

천단위에서 절삭(버림)한다를 영어로 어떻게 쓰면될까요 ::: 82cook.com 자유게시판

 

천단위에서 절삭(버림)한다를 영어로 어떻게 쓰면될까요 ::: 82cook.com 자유게시판

천단위에서 절삭(버림)한다를 영어로 어떻게 쓰면될까요 작성일 : 2009-06-17 11:46:32 735026 23,643,000 이라는 금액을 23,640,000으로 계산할때 천단위에서 절삭하잖아요. '천 단위에서 절삭(버림)했다'라

www.82cook.com

 

실제 생활 속 활용 사례

  1. 세금 계산
    • 부가가치세, 소득세 등은 법적으로 소수점 이하를 절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예: 1,239.78원 → 1,239원 (1원 단위 절사)
  2. 급여 지급
    • 급여나 수당을 계산할 때 10원 단위 절사로 지급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3. 통계 수치
    • 설문조사 결과나 평균값을 표시할 때는 절삭을 사용해 반올림된 값을 제시합니다.
    • 예: 4.146점 → 4.15점 (소수 둘째 자리 절삭)
  4. 일상적인 계산
    • 택시 요금, 포인트 적립 등에서도 절사와 절삭이 혼용됩니다.
    • 예: 3.7% 적립률에서 소수점 이하 절사 후 3%만 적립

 

절삭과 절사는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버림과 반올림이라는 뚜렷한 차이가 있습니다. 세금이나 회계에서는 절사가, 통계나 성적 산출에서는 절삭이 주로 사용됩니다. 어떤 상황에서 어떤 방식을 적용하는지 이해하고 활용한다면 계산 과정에서 혼동을 줄이고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