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세혈뇨는 소변에서 현미경으로만 확인 가능한 적혈구가 존재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육안으로는 피가 보이지 않지만, 소변검사에서 적혈구가 일정 기준 이상 발견될 때 진단됩니다. 건강검진이나 정기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조영CT와 내시경 검사 차이
- 조영CT: 신장, 요관, 방광 등 요로 전반의 구조적 이상을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결석, 종양, 염증, 기형 등을 비교적 정밀하게 볼 수 있습니다.
- 방광 내시경: 방광 내부 점막을 직접 관찰하는 검사로, 방광암이나 점막 병변을 확인하는 데 강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CT에서 이상이 보였더라도 내시경에서 정상으로 나올 수 있으며, 이는 병변의 위치가 방광이 아닌 신장이나 요관에 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미세혈뇨의 주요 원인
- 신장 질환
- 사구체 질환(사구체신염 등)
- 신장 낭종, 신장 결석
- 신장 종양
- 요관 이상
- 요관 결석
- 요관 협착이나 종양
- 방광 및 요도 질환
- 방광염, 요도염
- 방광 종양(내시경에서 놓칠 수 있는 초기 병변 포함)
- 기타 원인
- 격렬한 운동 후 일시적 혈뇨
- 약물 복용(항응고제 등)
- 여성의 경우 생리혈 혼입
왜 조영CT와 내시경 결과가 다를까
- 병변 위치 차이: 내시경은 방광 내부만 확인 가능하므로, 신장이나 요관에 원인이 있으면 정상으로 나올 수 있습니다.
- 병변 크기와 특성: 아주 작은 병변이나 점막 아래 병변은 내시경에서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 검사 시점의 차이: 일시적인 출혈이나 염증은 검사 시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2025.01.30 - [분류 전체보기] - 신장염 증상과 원인
신장염 증상과 원인
신장염은 신장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신장의 기능을 저하시켜 심각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신장염의 주요 증상과 원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신장
7nih.5livhealthy.com
추가로 고려해야 할 검사
- 소변 세포검사: 암세포 유무 확인
- 신장 초음파: 구조적 이상 확인
- 혈액검사: 신장 기능 평가
- 추적 소변검사: 지속 여부 확인
조영CT에서 이상이 발견되었지만 내시경은 정상인 경우, 미세혈뇨의 원인은 신장이나 요관 등 방광 외부 요인일 가능성이 큽니다. 미세혈뇨는 단순한 증상 같아도 신장 질환이나 요로 종양의 초기 신호일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추적 검사와 전문의 상담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