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소방설비에서 주펌프, 예비펌프, 충압펌프는 각각 특정한 역할을 수행하며, 이들의 구분과 기능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화재 시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1. 주펌프 (Main Pump)
- 역할: 주펌프는 화재 발생 시 소화설비에 필요한 수압과 유량을 공급하는 주요 펌프입니다.
- 설치 기준: 옥내소화전설비, 스프링클러설비 등 수계소화설비가 설치된 곳에는 필수적으로 1개 이상의 주펌프가 설치되어야 합니다.
- 구성: 주펌프는 전동기 또는 내연기관을 동력원으로 하여 운전됩니다. 과거에는 엔진펌프를 주펌프로 사용하기도 했으나, 현재는 전동기 펌프만을 주펌프로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소방용어집 - 보조펌프, 충압펌프, 자키펌프(jockey pump) 상세화면 | 속초소방서 > 알림마당 > 소방법령정보 > 소방용어집
소방용어집 - 보조펌프, 충압펌프, 자키펌프(jockey pump) 상세화면 | 속초소방서 > 알림마당 > 소방
내용 보조펌프, 충압펌프, 자키펌프(jockey pump)옥내소화전 및 스프링클러설비 등의 배관에 항상 일정한 압력을 제공하는 소형 고압펌프.
cc119.gwd.go.kr
2. 예비펌프 (Standby Pump)
- 역할: 예비펌프는 주펌프의 고장이나 운전 불능 시 자동으로 기동하여 소화설비에 수압과 유량을 공급하는 보조 펌프입니다.
- 설치 기준: 일반적으로 예비펌프는 1개를 설치하며, 주펌프와 동일한 용량을 갖추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러나 주펌프의 용량이 과도할 경우, 용량이 작은 주펌프를 2개로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구성: 예비펌프는 주펌프와 동일한 종류의 펌프를 사용하며, 주펌프와 동일한 동력원으로 운전됩니다.
3. 충압펌프 (Pressure Maintenance Pump)
- 역할: 충압펌프는 소화설비의 수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펌프입니다. 수배관 내의 압력이 저하되면 자동으로 기동하여 압력을 보충하며, 수동으로 기동하지 않습니다.
- 설치 기준: 충압펌프는 주펌프와 예비펌프와 함께 설치되어, 소화설비의 수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기여합니다.
- 구성: 충압펌프는 일반적으로 소형 펌프를 사용하며, 주펌프와 예비펌프와는 별도로 운전됩니다.
4. 펌프의 압력 스위치 설정
- 주펌프와 예비펌프의 압력 스위치 설정: 주펌프와 예비펌프의 압력 스위치는 기동 압력과 정지 압력을 설정하여, 소화설비의 수압을 적절하게 유지합니다. 예를 들어, 주펌프의 기동 압력은 자연 낙차 압력에 일정한 값을 더한 값으로 설정하며, 정지 압력은 주펌프의 양정값으로 설정합니다.
- 충압펌프의 압력 스위치 설정: 충압펌프의 압력 스위치는 주펌프와 예비펌프의 기동 및 정지 압력 범위 내에 있도록 설정하며, 주펌프와 충압펌프의 기동점 간격은 최소 0.5kg/㎠ 이상 차이를 두어야 합니다.
5. 펌프의 배치 및 관리
- 배치: 펌프는 일반적으로 주펌프, 예비펌프, 충압펌프 순으로 배치되며, 각 펌프의 역할과 중요성을 고려하여 설치됩니다.
- 관리: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를 통해 펌프의 정상 운전을 보장하며, 화재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주펌프, 예비펌프, 충압펌프는 소화설비의 핵심 구성 요소로서, 각 펌프의 역할과 기능을 정확히 이해하고 관리하는 것이 화재 안전을 확보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