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복상장이란 한 기업이 동일한 주식을 두 개 이상의 증권거래소에 상장하거나, 이미 상장된 모회사가 자회사나 사업부를 분할해 별도로 상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자금 조달과 글로벌 인지도 제고에 유리하지만, 투자자 입장에서는 주가 하락이나 가치 희석의 위험이 존재합니다.
중복상장의 정의
중복상장은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습니다.
- 해외 동시 상장(Dual Listing): 한 기업이 자국 증권거래소뿐 아니라 해외 거래소에도 동시에 상장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한국에 상장된 기업이 뉴욕증권거래소(NYSE)나 나스닥(NASDAQ)에 추가로 상장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
- 모·자회사 동시 상장: 이미 상장된 모회사가 수익성이 높은 사업부를 분할해 자회사로 상장시키는 경우입니다. 대표적으로 LG화학이 배터리 사업부를 분할해 LG에너지솔루션을 상장한 사례가 있습니다.
기업이 중복상장을 선택하는 이유
- 해외 투자자 유치: 글로벌 거래소에 상장하면 해외 투자자 접근성이 높아져 자금 조달이 용이해집니다.
- 브랜드 가치 상승: 세계적인 거래소에 상장함으로써 기업 이미지와 신뢰도가 강화됩니다.
- 거래 유동성 확대: 여러 시장에서 주식이 거래되면 거래량이 늘어나고 변동성이 완화될 수 있습니다.
- 위험 분산: 특정 국가의 정치·경제적 리스크를 줄이고, 다양한 통화 기반에서 자금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에게 미치는 영향
중복상장은 긍정적인 효과와 부정적인 효과가 공존합니다.
- 긍정적 측면: 기업의 성장 가능성이 커지고, 해외 투자자 유입으로 주가 상승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부정적 측면: 모회사와 자회사가 동시에 상장되면 이익이 중복 계산되어 모회사 주가가 하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최근 5년간 중복상장이 발생한 국내 기업의 70% 이상이 시장 평균 대비 부진한 성과를 보였습니다.
[이철민의 마켓 나우] 중복 상장 논란 뒤에 숨겨진 거대한 리스크 | 중앙일보
[이철민의 마켓 나우] 중복 상장 논란 뒤에 숨겨진 거대한 리스크 | 중앙일보
바이오 기업 오스코텍의 미국 자회사 제노스코 사례가 대표적인데, ‘동일 사업 모델 자회사의 복제 상장’이라는 평가를 받아 4월 예비 심사를 통과하지 못했다. 중복 상장은 상장 기업들이 사
www.joongang.co.kr
국내외 사례
- 해외 사례: 알리바바는 홍콩과 뉴욕에 동시에 상장하여 글로벌 투자자 기반을 넓혔습니다.
- 국내 사례: LG화학과 LG에너지솔루션, LS그룹 계열사들의 연이은 상장이 대표적인 중복상장 사례로 꼽힙니다.
중복상장은 기업 입장에서는 자금 조달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라는 장점이 있지만, 투자자 입장에서는 주가 희석과 가치 하락 위험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는 기업의 재무 구조, 분할 상장 목적, 해외 상장 전략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뒤 신중하게 접근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