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품질시험계획서는 건설공사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수립해야 하는 문서로, 특정 규모 이상의 공사에서 요구됩니다. 이 계획서는 공사의 품질관리 방안을 상세히 기술하며, 발주자와 인허가 기관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1. 품질시험계획서 수립 대상 공사
품질시험계획서를 수립해야 하는 공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 토목공사: 총공사비가 5억 원 이상인 경우
- 건축공사: 연면적이 660㎡ 이상인 경우
- 전문공사: 총공사비가 2억 원 이상인 경우
이러한 기준은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 제89조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법령 | 국가법령정보센터
제89조(품질관리계획 등의 수립대상 공사) ① 법 제55조제1항에 따른 품질관리계획(이하 "품질관리계획"이라 한다)을 수립해야 하는 건설공사는 다음 각 호의 건설공사로 한다. <개정 2014. 11. 11.,
law.go.kr
2. 품질시험계획서의 주요 내용
품질시험계획서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 시험 항목 및 기준: 공사에 적용될 품질 기준과 시험 항목을 상세히 기술합니다.
- 시험 방법: 각 시험 항목에 대한 구체적인 시험 방법을 명시합니다.
- 시험 일정: 시험이 진행될 일정과 주기를 계획합니다.
- 시험 시설 및 장비: 시험에 사용될 시설과 장비의 명칭, 규격, 수량 등을 포함한 정보를 기재합니다.
- 품질관리자 배치계획: 품질관리 업무를 수행할 기술인의 성명, 등급, 자격, 경력 등을 명확히 기재합니다.
3. 품질시험계획서 수립 및 승인 절차
품질시험계획서의 수립 및 승인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 계획서 수립: 시공사는 품질시험계획서를 작성합니다.
- 검토 및 확인: 감리자는 작성된 계획서를 검토하고 확인합니다.
- 발주자 승인: 검토된 계획서를 발주자가 승인합니다.
- 인허가 기관 심사: 발주자는 승인된 계획서를 인허가 기관의 장에게 제출하여 심사를 받습니다.
- 본공사 시행: 모든 승인이 완료되면 본공사를 진행합니다.
4. 품질시험계획서 제출 시기
품질시험계획서는 착공 전에 수립하여 발주자와 인허가 기관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이는 건설기술진흥법 제55조 제1항 및 시행령 제90조 제1항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5. 품질시험계획서의 중요성
품질시험계획서는 공사의 품질을 확보하고, 법적 요구사항을 충족하며,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분쟁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계획서의 수립과 승인은 신중하게 진행되어야 합니다.
품질시험계획서는 건설공사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핵심 문서로, 특정 규모 이상의 공사에서 필수적으로 수립해야 합니다. 계획서의 내용과 수립 절차를 정확히 이해하고 준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